신규! 계정을 관리하고 기록을 확인하며 보고서(PDF/CSV)를 다운로드하고 백업을 확인하려면 로그인하세요. 여기에서 로그인하세요!
이 기사 공유하기:

자궁과 흔한 자궁 질환

아이는 어디에서 올까요? 모든 부모님이 언젠가 받게 되는 질문입니다. 새로운 생명이 만들어지는 복잡한 과정을 아이에게 설명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우리의 답변은 간결합니다—아이는 자궁에서 옵니다.

자궁 건강 인사이트: 흔한 자궁 질환의 이해

인체 내에 자궁만큼 유연하고 변화무쌍한 장기는 없습니다! 임신 중에는 자궁이 큰 자두 크기에서 수박 크기까지 커질 수 있고, 출산 후 다시 정상 크기로 돌아옵니다.

자궁, 즉 자궁(womb)은 여성만의 독특한 생식기관으로, 골반 안에 위치해 있으며 뒤집은 배 모양의 속이 빈 기관입니다.

구조와 위치

자궁은 두껍고 늘어날 수 있으며 근육질로 이루어진 기관입니다. 여성의 난자가 남성의 정자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고 자궁벽에 착상하면 이곳에서 태아(발달하는 아기)가 자랍니다.

자궁은 앞쪽의 방광과 뒤쪽의 S상 결장 사이에 위치합니다.

자궁체부(corpus uteri)의 구성:

  • 자궁 저부—나팔관이 자궁에 들어오는 부분 위에 위치함
  • 자궁 —태아가 자라는 속이 빈 공간
  • 자궁 협부—자궁의 아랫부분이 좁아진 곳

자궁벽은 세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자궁 장막(perimetrium)—자궁체와 자궁경부 일부를 감싸는 외부층(두께 2mm)
  • 자궁 근육층(myometrium)—세로, 원형, 나선형의 평활근 섬유와 결합조직으로 구성된 중간층(15mm)
  • 자궁 내막(endometrium)—점막조직으로 이루어진 내부층(월경주기에 따라 6~16mm)

해부학적 탐구: 자궁체부의 세부사항


자궁경부는 여러 명칭으로 나뉩니다:

  • 내경부(endocervix) 또는 경관은 자궁과 질을 연결하는 통로
  • 내구(internal os)는 자궁으로 통하는 자궁경부 중앙의 개구부
  • 외경부(ectocervix)는 자궁과 질 사이의 통로
  • 외구(external os) 또는 경관은 외경부의 중앙에 있는 공간

자궁은 종종 태어나지 않은 아기가 태어날 때까지 잠을 자는 둥지나 침대에 비유됩니다. 자궁 내막을 침대 시트에 비유하면, 이 시트는 정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지 않으면 매달 자궁 내막이 탈락되어 월경혈로 몸 밖으로 배출되고, 새로운 층이 다시 형성됩니다.

자궁의 주요 기능 세 가지는 아기 발달을 도와줍니다:

  • 태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
  • 태아가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양분 공급
  • 노폐물 배출을 관리해 태아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

임신 중 자궁의 변화

임신이 진행되면서 자궁은 크게 성장합니다. 1분기에는 자궁이 자몽 크기 정도로 커져 골반 내에 있습니다.

2분기가 되면 자궁은 파파야 크기 정도로 커져 더 이상 골반에 들어가지 않고, 상단이 배꼽과 유방 중간 정도까지 올라옵니다.

자궁이 커지면서 다른 내부 장기를 밀어내고 주변 근육과 인대에 압박을 가해 약간의 통증이나 불편함이 생길 수 있지만 이는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커지는 자궁은 혈관을 눌러 다리가 붓기도 하고, 방광을 압박해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호흡기와 심장에 압박을 주어 숨쉬기와 움직임이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쌍둥이 또는 다태아 임신의 경우 자궁은 더 빨리 늘어나고 성장합니다.


자궁의 압력으로 배꼽이 튀어나올 수 있지만 출산 후에는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임신 3분기 자궁 확장, 수박과 비교되는 크기


임신 3분기에는 자궁이 수박 크기까지 커집니다. 만삭 시에는 완전히 발달한 아기를 품고 치골부터 갈비뼈 아래까지 자궁이 확장됩니다. 출산 준비가 되면 아기가 골반 쪽으로 내려가고, 자궁경부가 열리면서 자궁 근육이 아기를 세상 밖으로 밀어낼 수 있습니다.

출산 후 자궁은 점차 임신 전의 크기, 모양, 위치로 돌아오는데, 이를 퇴축이라고 하며 약 6주가 소요됩니다.

흔한 자궁 질환

폴립, 자궁내막증, 근종, 암 등 다양한 질환이 자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부 질환은 골반과 아랫배에 불편함이나 통증을 유발합니다. 심한 경우 배꼽이나 허리 쪽으로 통증이 퍼질 수 있습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월경불순이나 임신 곤란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을 경우, 원인에 따라 심각한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역행성 자궁—기울어진 자궁, 뒤로 젖혀진 자궁 등으로도 불리며, 자궁경부에서 앞으로가 아니라 뒤로 커브를 그리는 자궁입니다. 약 4명의 여성 중 1명이 기울어진 자궁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울어진 자궁은 정상적인 해부학적 변이로 간주되며, 보통 임신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과거에는 역행성 자궁이 불임의 원인으로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자궁 위치가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간혹 자궁내막증, 감염, 이전 수술에 의한 유착(흉터 조직)으로 자궁이 더 심하게 기울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나, 임신은 여전히 가능합니다. 다만 이러한 상황에서는 난임 전문의와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근종

근종은 비암성 종양 혹은 자궁근육의 국소적 비후입니다. 근종은 월경과다를 자주 일으킵니다.

근종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 장막하 근종—자궁 표면에 위치하며, 크기가 커져 불편을 주는 경우 수술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근층 내 근종—자궁 근육층 내부에서 자라며 초음파로 발견됩니다. 월경혈이 많아지는 경우가 흔하고, 대부분의 근종처럼 폐경 후에는 퇴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점막하 근종—자궁 내막 바로 아래에서 생기며, 대개 1~1.5cm 정도로 작지만, 출혈성 조직이라 월경과다 및 부정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점막하 근종은 약물로 치료하지만 필요시에는 수술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폴립

폴립은 대체로 소규모이고 양성이지만, 부정출혈이나 폐경 후 출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한 개 또는 다수의 자궁 폴립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자궁폴립은 폐경기 전후 여성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이때는 자궁 내막이 매달 규칙적으로 갱신되지 않습니다. 대개는 자궁 내에 머물지만, 때로 경부를 통해 질로 빠져나오기도 합니다. 증상이 없는 작은 폴립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합니다.


작은 폴립은 자궁암 위험이 없다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폴립이 커지거나 불편을 유발하면 약물치료로 단기적 개선이 가능하지만, 수술적 제거가 더 효과적입니다.

자궁내막 증식증은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진 상태입니다. 일시적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전암성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식증의 증상은 부정출혈이나 월경과다가 있으며, 과체중과 비만은 이 질환 및 자궁내막암으로의 진행 위험 요소입니다. 체지방은 프로게스테론에 비해 에스트로겐 생성이 많아져 자궁내막 증식을 촉진합니다.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여성들은 질 초음파로 정기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폐경 후 출혈이 있을 경우 산부인과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이 자궁 외부에서 자라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자궁선근증은 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 속에 발생한 경우입니다. 이로 인해 월경통(통증이 심하고 점차 심해지는 월경)이 심해집니다.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 10명 중 1명에게 발생하며, 사춘기 초기에 시작될 수도 있습니다.

대처법은? 대부분 피임약 처방을 통해 생리 주기를 일시적으로 멈추어 자궁을 쉬게 하고, 이를 통해 증상이 완화됩니다. 월경통은 어느 정도 정상 범주입니다. 경험하시는 것이 이상하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주저 말고 의사 또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자궁경부암은 이제 예방 가능한 질환입니다. 1990년대 개발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백신이 자궁경부암 세포의 대다수에서 발견되는 HPV 감염을 예방합니다. 파파니콜라우(Pap) 검사에서 자궁경부세포를 채취해 HPV 감염 관련 세포 변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형성증이라고 하며, 불편함이나 증상은 없습니다. 정기적인 자궁경부 세포검사(3년에 한 번)가 이형성증을 조기에 발견하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대부분 이형성증은 암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면역계에 의해 소멸됩니다.

또한 이형성증이 하루아침에 암으로 진행되지는 않습니다.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므로, 정기적으로 산부인과 검진을 받아 변화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omanLog를 이용해 내 생리주기를 기록하세요. 지금 WomanLog를 다운로드하세요: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구글 플레이에서 받기

이 기사 공유하기:
https://www.verywellhealth.com/common-uterine-conditions-3521135
https://www.mayoclinic.org/tilted-uterus/expert-answers/faq-20058485
https://www.healthline.com/health/womens-health/tilted-uterus
https://kidshealth.org/en/teens/female-repro.html
https://americanpregnancy.org/while-pregnant/uterus-size-during-pregnancy/
https://www.passeportsante.net/fr/parties-corps/Fiche.aspx?doc=uterus
https://teachmeanatomy.info/pelvis/female-reproductive-tract/cervix/
https://study.com/academy/lesson/the-uterus-and-uterine-wall-structure-and-parts.html
https://familydoctor.org/condition/endometrial-hyperplasia/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uterine-polyps/diagnosis-treatment/drc-20378713
https://www.medicinenet.com/endometriosis/article.htm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cervical-cancer/symptoms-causes/syc-20352501
Advertisement


정신 건강은 우리 중 많은 이들이 여전히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기를 꺼리는 주제입니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4명 중 1명꼴로 언제든지 어떤 형태로든 정신 질환을 경험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양극성 장애와 이를 갖고 살아가는 삶에 관해 조명합니다.
가끔씩 우리는 누구나 덤벙거릴 때가 있습니다. 보도블록에 걸려 넘어지거나, 새로 산 원피스에 커피를 엎지르기도 하죠. 하지만 덤벙거림이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반복되는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어떤 날은 평소보다 더 덤벙거린다는 것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계속 부딪히거나 물건을 놓치게 될 때도 있죠. 이 글에서는 덤벙거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걱정할 만한 문제인지 아니면 그냥 당신의 생활과 성격의 일부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길고 힘든 하루가 끝난 뒤, 이완 마사지를 마다할 사람은 거의 없을 거예요. 마사지는 치료적이거나 의학적으로 꼭 필요하거나, 운동 루틴의 일부이거나, 심지어 영적인 여정의 일부일 수도 있습니다. 어떤 이유든, 마사지는 내 몸을 돌보는 훌륭한 방법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