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계정을 관리하고 기록을 확인하며 보고서(PDF/CSV)를 다운로드하고 백업을 확인하려면 로그인하세요. 여기에서 로그인하세요!
이 기사 공유하기:

출산 후 첫 생리: 무엇을 기대해야 할까

첫 생리는 사춘기에서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출산 후 처음 맞는 생리도 비슷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더 아프고 오래 갈까요? 언제 시작될지, 그리고 출산 후 임신에 대한 보호는 얼마나 지속되는지 궁금하시죠? 이 글에서 모든 질문에 답해드립니다.

출산 후 첫 생리는 어떤가요? - 산후 월경 주기 일러스트

임신 중 가장 좋은 점 중 하나는 몇 달 동안 생리를 겪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출산을 하고 엄마로서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다 보면 매달 겪던 생리통, 복부팽만, 여드름, 피로 등을 잊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원하든 원하지 않든, 결국 다시 생리가 시작됩니다. 이전과는 조금 다를 수 있어요.

임신 중에는 왜 생리가 멈출까?

소문을 바로잡자면, 임신 중에는 생리를 할 수 없습니다. 착상혈이나 소량의 출혈이 생리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완전히 다른 현상입니다. 이유를 설명드릴게요.

정자가 난자를 수정하면, 착상한 수정란이 인간 융모생식선 자극호르몬(hCG)을 분비하기 시작합니다.

hCG는 난소에 매달 성숙 난자를 내보내는(배란) 것을 멈추게 신호를 줍니다. 배란이 없으면 자궁내막이 벗겨지는 일이 없어 생리혈이 나오지 않습니다.

임신 중 증가한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 역시 자궁내막을 두껍게 하고 유지시켜 태아가 자랄 수 있도록 돕습니다. 배란 중단과 호르몬 변화로 임신과 동시에 생리 주기가 멈추는 겁니다.

임신 중에는 눈에 띄는 출혈이 없어야 합니다. 만약 출혈이 있다면, 빠르게 대처해 이상을 확인하고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임신 중 출혈, 정상일까?

임신 초기 1분기에 생기는 가벼운 출혈(스포팅)은 일반적일 수 있습니다. 보통 생리가 올 시기(수정 후 10~14일경)에 착상혈이 생길 수 있는데, 이때 가벼운 출혈과 함께 아랫배 통증도 동반될 수 있어 생리로 헷갈리기도 합니다. 임신 여성의 약 25%가 초기 스포팅을 경험합니다. 드물고 약하다면 보통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착상혈은 생리와 다릅니다. 증상을 정확히 알아두고 신속하게 산전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착상혈의 특징:

  • 처음 며칠간의 생리처럼 덩어리(혈전) 없이 가볍게 나옵니다.
  • 맑은 핑크색이나 갈색, 생리 마지막처럼 옅은 색입니다.
  • 몇 시간에서 이틀 정도만 지속됩니다.

단, 평소 생리가 매우 적거나, 호르몬 피임약을 사용하여 출혈이 적은 경우에는 차이를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최근 무방비한 성관계가 있었다면 임신을 의심하고, 임신 테스트를 신속히 하며 피임약도 즉시 중단하세요.

거친 성관계나 자궁경부 검사 후에도 가볍게 출혈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런 경우는 금방 사라지며 소량의 피만 소변지에 묻는 정도입니다.

하지만 임신 초기(1분기) 심한 출혈이 있다면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즉시 의사에게 연락해야 할 경우:

  • 많이 출혈하거나
  • 혈액이 밝은 빨간색이거나
  • 복부(아랫배) 통증이 심하거나
  • 구토 또는 메스꺼움이 심하거나
  • 고열이 있거나
  • 혈전이 나오거나
  • 어지럽거나

임신 1분기(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심한 출혈의 원인

유산

유산은 예상보다 흔한 일입니다. 알려진 임신의 약 20%가 유산으로 끝납니다. 보통 임신 20주 이전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급하게 생리가 많아진 것처럼 보이기도 해 임신 사실을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궁외임신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이 아닌 곳(주로 나팔관)에 착상하여 성장하는 위험한 상태입니다. 난자 이동 경로인 나팔관 외에도 난소, 복강, 경부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정상 출혈과 심한 복통이 나타납니다. 자궁 밖에서는 태아가 성장할 수 없으므로 임신을 즉시 중단하는 치료가 필요하고, 응급 상황입니다.

포상기태

포상기태(수포양 융모막종양)는 드물게 발생하는 임신 합병증으로, 1000~2000건 중 1건 정도 발생합니다. 난자와 정자가 결합해 정상 태아로 성장하지 않고 양성종양으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완전형/부분형이 있으며, 두 경우 모두 임신이 유지되지 않고 유산으로 마무리됩니다.

  • 완전 포상기태는 태아 조직 없이 태반이 포도송이처럼 낭포 조직으로 대체되는 것입니다.
  • 부분 포상기태는 비정상 태반 조직과 일부 태아 조직이 있으나, 정상 태아로 자랄 수 없습니다.

포상기태 역시 산부인과 응급상황으로,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자궁 내 포상조직을 수술로 제거하고, hCG 수치를 추적하여 재발 여부를 모니터링합니다. 드물게 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치료 후 6~12개월 동안 임신을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후기 출혈

임신 중 일부 여성은 가벼운 스포팅만으로 건강한 아기를 출산하기도 하지만, 12주 이후 패드가 흠뻑 젖을 정도의 많은 출혈은 비정상입니다. 이는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등 태반의 문제를 암시합니다.

임신 후기 조기 진통(37주 이전 진통)도 출혈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진통, 질 내 갑작스런 대량의 양수, 출혈 등이 동반된다면 즉시 병원에 가세요. 조산은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위험하므로 전문 치료가 필요합니다.

출산 후 질 출혈

출산 직후에 바로 생리가 시작되는 것은 아니지만, 분만 후 질 출혈(로치아)을 겪게 됩니다. 이 과정은 산후 회복 과정의 일부로, 자궁이 임신 잔여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정상입니다.

출산 후에는 자궁 내에 저녁 식탁만 한 상처가 남습니다. 분만 방식에 상관없이, 자궁이 원래 크기로 돌아오고 상처가 완전히 회복되는 데는 6주 정도 걸립니다. 이 시기에 출혈이 있을 수 있죠.

처음 며칠간은 생리처럼 출혈이 많고 선홍색 피와 작은 혈전이 나올 수 있습니다. 무리하게 움직이거나 무거운 것을 들면 출혈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시간이 지나면 점차 횟수가 줄고 색도 갈색, 양도 적어집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출혈은 산후 대출혈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즉시 병원에 가세요:

  • 분만 후 3일이 지나도 다량 출혈 발생
  • 한 시간에 패드 한 장 이상 젖음
  • 큰 혈전이 나옴
  • 어지럽고 기운이 없음
  • 열과 오한이 있음

출산 후 첫 생리

긴 휴식 이후 생리가 다시 시작되는 것을 원치 않아도 언젠가 자연스럽게 돌아오게 됩니다. 대부분 여성은 출산 후 4~6주에 처음 생리를 하게 됩니다. 수유 중이라면 돌아오는 시기가 좀 더 늦을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는 프로락틴이라는 호르몬 때문입니다.

이 호르몬은 난소 기능을 억제해 한동안 배란 및 생리가 중단됩니다. 완전 모유수유를 한다면 생리가 기간 내내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산 후 첫 생리는 기존과 어떻게 다를까?

첫 생리는 출산 전과 어떤 차이가 있을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많은 여성들이 시기, 증상, 양에서 변화를 느낍니다. 대부분 이런 변화는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임신 전 패턴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Advertisement


기대할 수 있는 점들:

  • 초기 몇 번의 생리는 임신 중 두꺼워진 자궁내막 탓에 평소보다 양이 많을 수 있습니다.
  • 자궁내막이 두꺼워졌기 때문에 혈전이 더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초기 생리통은 자궁 수축이 활발해져 더 심할 수 있지만, 반대로 원래 생리통이 심했던 여성이라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될 수도 있습니다.
  • 산후 초반 몇 개월은 생리주기가 불규칙하다가 점차 정상 패턴으로 돌아옵니다.
  • 초기 생리는 평소(3~7일)보다 더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모유수유 중이라면 일시적으로 모유량이 줄 수 있습니다.

출산 후 탐폰이나 생리컵 사용해도 될까?

산후 6주 진찰에서 이상이 없다는 확인을 받기 전까지 탐폰·생리컵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없다고 해도 자궁이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상처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생리컵은 진공 상태를 만들어 상처가 벌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출산 후 생식기관이 감염에 더 취약하므로 탐폰이나 생리컵보다 패드, 생리팬티 등 위생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언제 다시 임신할 수 있나요?

출산 후 몸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최소 6주간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질 분만 후에는 1년간 성기능 장애를 경험할 수 있는 여성들도 많아요. 관계를 시작했지만 아직 임신을 원치 않는다면 반드시 피임을 해야 합니다.

출산 후 첫 번째 생리(대개 4~6주 후)가 오면 다시 임신이 가능합니다. 많은 여성들이 모유수유를 자연 피임법으로 사용하지만, 100% 신뢰할 수 없습니다. 완벽하게 실행할 경우(낮 4시간/밤 6시간마다 수유, 분유·물 추가 X) 성공률은 98% 정도지만, 분유 또는 이유식을 병행한다면 추가 피임이 필요합니다.

몸이 원래대로 회복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해요

임신과 출산은 여성에게 신체·정신적으로 극한의 경험입니다. 산전과는 달라진 점이 있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며 대부분은 회복됩니다. 이 글이 출산 후 첫 생리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WomanLog 앱을 지금 다운로드하세요:

App Store에서 다운로드

Google Play에서 받아보기

이 기사 공유하기: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pregnancy-loss-miscarriage/symptoms-causes/syc-20354298
https://www.forbes.com/health/womens-health/what-is-implantation-bleeding/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050116119302028?via%3Dihub
https://www.webmd.com/women/vaginal-bleeding-after-birth-when-to-call-doctor
https://radiopaedia.org/articles/molar-pregnancy-2
https://www.plannedparenthood.org/learn/birth-control/breastfeeding
Advertisement


약 15%의 부부가 불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자녀를 원하지만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은 관계에 스트레스와 슬픔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보조 생식 기술, 입양, 그리고 대리모 임신은 부모가 되는 다양한 길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리모 임신이 불임 부부, 동성 커플, 그리고 싱글 여성에게 어떤 기회를 제공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치료를 받지 않으면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을 유발하는 병원체로, 신체의 자연 방어체계를 약화시켜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많은 여성들이 아이를 갖고 싶어하지만 임신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엔 큰 좌절로 느껴질 수 있지만, 오늘날에는 입양, 대리모, 그리고 난임 치료 등 자녀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길이 있습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그 이유는 복잡하고 개인적이지만, 모든 선택은 똑같이 존중받아야 합니다.